gs칼텍스 2025년 6월 뉴스레터 72

GS칼텍스 에너지 뉴스레터 72. [전환의 시대, 새로운 답을 찾다]

2025-07-02

GS칼텍스는 지속가능항공유(SAF)와 바이오연료 같은 에너지 전환부터, DX 기술 적극 도입과 에너지플러스 홀로 상징되는 디지털 및 조직문화의 전환, 그리고 다문화 인재, 예술, 업사이클링을 통해 사회적 가치의 전환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해답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언박싱] 일하는 방식을 바꾸는 AI 혁신, AiU 플랫폼 개발 스토리

[언박싱] 일하는 방식을 바꾸는 AI 혁신, AiU 플랫폼 개발 스토리

2025-07-01

일하는 방식의 디지털 혁신을 실현하는 사내 AI 비서, AiU를 소개합니다. 이번 <언박싱📦> 시리즈는 GS칼텍스의 사내 AI 비서 ‘AiU’의 개발과 도입을 주도한 김경수 책임, 이현성 책임, 홍지영 책임의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GS칼텍스는 AI 중심 조직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DAX(Digital & AI Transformation) 전략을 통해 전사적 혁신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DAX의 첫걸음으로 출시된 AiU는 단순한 챗봇을 넘어, 생성형 AI 기반의 자료 검색, 협업 지원, 업무 자동화 기능을 통해 구성원들의 업무 효율을 극대화하는 플랫폼입니다. 특히 생성형 AI의 한계로 지적되는 ‘환각 현상’까지 보완해, 더 정확하고 빠른 업무 수행을 돕고 있죠. GS칼텍스의 DAX(Digital & AI Transformation) 전략 실현을 위한 핵심 플랫폼, AiU. 발부터 실사용까지의 여정을 지금 영상으로 확인해 보세요.

[에너지식백과] 혼란한 중동정세 속 기름값과 정유 산업, 복잡한 구조 이해하기 | oil price industry thumbnail

[에너지식백과] 혼란한 중동정세 속 기름값과 정유 산업, 복잡한 구조 이해하기

2025-06-26

기름값의 결정 구조는 생각보다 복잡하고, 유가 변동이 정유사의 수익에 미치는 영향도 단순하지 않습니다. 일상 속에서 자주 접하지만 쉽게 알기 어려운 기름값의 구조, 이번 에너지 식백과에서 정확하게 짚어드립니다. 특히, 불안한 국제 정세와 저유가 상황 속에서 정유사가 직면한 현실은 무엇인지, 그리고 이러한 복잡한 시장 구조 속에서 GS칼텍스가 어떻게 지속 가능한 에너지 기업으로 나아가고 있는지도 함께 살펴봅니다. SAF(지속 가능 항공유) 생산 및 수출, 폐플라스틱을 석유 대체 원료로 바꾸는 기술을 개발하는 등 다방면으로 지속 가능성을 실천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름값과 정유 산업이 주고받는 복합적인 영향, 그리고 그 속에서 지속가능한 내일을 준비하는 GS칼텍스의 방향을 지금 영상으로 만나보세요.

A GS Caltex employee tests immersion cooling fluid at the LG Uplus data center.

GS Caltex Expands Immersion Cooling Business to Data Centers

2025-06-26

GS Caltex (CEO Saehong Hur) is making a full-scale push to grow its immersion cooling business by supplying the high-performance fluid to LG Uplus.

A GS Caltex employee tests immersion cooling fluid at the LG Uplus data center.

GS칼텍스, 데이터센터 액침냉각 시장 확대 나선다

2025-06-26

GS칼텍스(대표이사 허세홍 사장)가 LG유플러스에 액침냉각유를 공급하며 데이터센터 액침냉각 사업 확대에 본격 나선다.

썸네일

[에너지칼럼] 글로벌 전력망 통합 가속…‘전기 섬’ 한국의 고립 우려

2025-06-25

싱가포르는 아시아의 '물류 허브'다. 유조선과 컨테이너선 등이 싱가포르 앞바다를 가득 메운 채 석유에서부터 전자제품, 자동차 등 모든 것을 수입하고 실어 나른다. 이들 선박이 운반하지 않는 품목은 딱 하나다. 바로 전기다. 그간 싱가포르는 가스를 수입해 화력발전으로 전기를 자급해 왔지만, 이제는 대안을 모색해야 했다.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도시국가의 특성상 땅덩어리가 좁아 태양광 패널을 깔거나 풍력발전소를 짓기도 쉽지 않았다.

POME-treatment-process_thumb.jpg

GS Caltex Targets Greenhouse Gas Reduction and Biomaterial Sourcing in Tandem

2025-06-24

GS Caltex announced on June 24 that it has been selected for the “2025 Support Program for Feasibility Studies on International Greenhouse Gas Reduction Projects,” led by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and the Export-Import Bank of Korea. The program underscores the government’s proactive support for corporate overseas greenhouse gas reduction projects, in place since 2023 as part of broader efforts to achieve Korea’s 2030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NDC) targets.

POME-treatment-process_thumb.kor.jpg

GS칼텍스, 온실가스 감축과 바이오원료 한 번에 잡는다

2025-06-24

GS칼텍스(대표이사 허세홍 사장)가 인도네시아 동부 지역에 위치한 팜유공장에서 발생하는 팜폐수(Palm Oil Mill Effluent, POME)를 재활용해 바이오원료를 확보하고 온실가스 감축을 추진한다.

말레이시아 유학생에서 GS칼텍스 책임까지, 시시우퐁의 카이스트 특강 | my journey in a korean workplace

말레이시아 유학생에서 GS칼텍스 책임까지, 시시우퐁의 카이스트 특강

2025-06-23

2025년 5월 30일, 카이스트(KAIST) 교육지원동 1층 K-Space에서 GS칼텍스 시시우퐁 책임의 특별 강연이 열렸습니다. 한국에서 기업생활을 하고 있는 외국인 선배로서, 시시우퐁 책임은 유학생 후배들에게 자신의 커리어 여정을 공유하며 진솔한 조언을 전했습니다.

Dirty White Trash (With Gulls) by Tim Noble and Sue Webster

관점의 전환이 만드는 새로운 가치, 업사이클링의 무한 가능성

2025-06-20

'기후 감수성'이라는 단어 들어 보셨나요? 기후 변화와 환경 문제를 예민하게 감지하고, 그에 따라 행동까지 바꾸려는 감각을 말하는데요. 특히 MZ세대를 중심으로 이 감수성이 일상의 소비와 문화 전반을 바꾸고 있습니다. 기후 위기를 체감하는 시대, 자원순환은 더 이상 '환경 보호'의 영역에 머무르지 않습니다. 특히 새활용(업사이클링)은 도시의 쓰레기를 예술로, 폐허를 문화 공간으로 바꾸는 변화의 도구가 되고 있죠. 오늘은 '쓸모'의 정의를 다시 쓰는 사람들, 공간, 아이디어를 소개합니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아이디어들,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

GS칼텍스 뉴스레터 구독신청

에너지 산업 이슈, 석유 관련 기초 지식 등 다양한 콘텐츠를 보내드립니다!